여기에 공감해주신다면 그야말로 아재확정…이겠지요 ㅠ


윗짤은 제가 몇년전에 만들었던 구판 1/144 조고크, 그리고 밑은 '나는 친구가 적다'의 히라사카 요미 글에 칸토쿠가 일러를 맡은 라노베 신간 '여동생만 있으면 돼' 7권의 한 장면입니다. 주인공 이츠키의 친구와 지인들이 3대3 소개팅을 하는데, 남성사이드에 참여한 이츠키의 여동생 치히로 양이 자신의 취미가 건프라라는 것을 밝히자 남자들이 공감대를 느끼고 기뻐하며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는데 마지막 말이 가슴에 와닿았습니다.
카이즈: "그런 얘기라면야 건프라 20년 경력의 나를 빼면 안되지!"
치히로: "아, 저도 알아요. 그때 건프라는 접착제를 사용했었지요?"
카이즈: "…자네가 보기에 30대 후반인 나는 노인네로 보이겠지만, 20년전 건프라도 접착제는 안썼다고?"
접착제를 쓰던 예전 건프라에 대한 대화가 옛 추억을 불러오더라. 제 경우에도 8X년 때부터 건프라를 시작했으며 그때는 보통 '조립식'이라고 부르곤 했지요. 요즘에야 건프라를 비롯해 코토부키야 등 취미 계열 프라는 스냅킷인게 거의 기본사항이지만 한때는 로봇 프라모델에도 접착제가 들어있어서 손에 잔뜩 묻히고 온집안에 본드 냄새 풍기면서 로보트 만드는게 낯설지 않았습니다. 또 동봉한 접착제 다 떨어지면 누런 돼지본드로 대신하던 기억도 나구요.
접착제로 만든 건프라, 하면 역시 제일 먼저 생각나는데 아카데미 1/100 ZZ건담. 3단 변신합체를 완전실현한 지금 봐도 놀라운 제품이지만 조립난이도가 꽤나 높아서 본드 덕지덕지 묻혀가며 3번이나 만들었고, 마찬가지로 1/100 Z건담도 변형이 가능하지만 구조가 취약하여 결국은 조립실패하여 돈만 날린 아픔이 있습니다. 그에 비하면 1/100 건담 마크2는 얼마나 튼튼한 명품이었던가. 그외 아카데미 드라고나와 가리안 시리즈도 본드 냄새 풍기면서 열심히 만들었었지요 넵.
처음으로 만든 반다이 정품 스냅킷 1/100 HG V2건담의 품질에 감동받았던 학창시절이 그리~워라? 접착제와 수성데칼이 일상적이던 쌍팔년도 시절의 건프라에 대한 주저리였습니다. 성탄절 연휴에도 모든 분들에게 포스가 함께 하시기를.





카이즈: "그런 얘기라면야 건프라 20년 경력의 나를 빼면 안되지!"
치히로: "아, 저도 알아요. 그때 건프라는 접착제를 사용했었지요?"
카이즈: "…자네가 보기에 30대 후반인 나는 노인네로 보이겠지만, 20년전 건프라도 접착제는 안썼다고?"
접착제를 쓰던 예전 건프라에 대한 대화가 옛 추억을 불러오더라. 제 경우에도 8X년 때부터 건프라를 시작했으며 그때는 보통 '조립식'이라고 부르곤 했지요. 요즘에야 건프라를 비롯해 코토부키야 등 취미 계열 프라는 스냅킷인게 거의 기본사항이지만 한때는 로봇 프라모델에도 접착제가 들어있어서 손에 잔뜩 묻히고 온집안에 본드 냄새 풍기면서 로보트 만드는게 낯설지 않았습니다. 또 동봉한 접착제 다 떨어지면 누런 돼지본드로 대신하던 기억도 나구요.
접착제로 만든 건프라, 하면 역시 제일 먼저 생각나는데 아카데미 1/100 ZZ건담. 3단 변신합체를 완전실현한 지금 봐도 놀라운 제품이지만 조립난이도가 꽤나 높아서 본드 덕지덕지 묻혀가며 3번이나 만들었고, 마찬가지로 1/100 Z건담도 변형이 가능하지만 구조가 취약하여 결국은 조립실패하여 돈만 날린 아픔이 있습니다. 그에 비하면 1/100 건담 마크2는 얼마나 튼튼한 명품이었던가. 그외 아카데미 드라고나와 가리안 시리즈도 본드 냄새 풍기면서 열심히 만들었었지요 넵.
처음으로 만든 반다이 정품 스냅킷 1/100 HG V2건담의 품질에 감동받았던 학창시절이 그리~워라? 접착제와 수성데칼이 일상적이던 쌍팔년도 시절의 건프라에 대한 주저리였습니다. 성탄절 연휴에도 모든 분들에게 포스가 함께 하시기를.
덧글
나사박고 조이고 하는건 요즘 mg급 이상도 하는 모양이던데...
나 30대인데 접착제쓴 기억이 있는데 한국이라 일본보다 스냅키트 보급이 늦어서인가....??
동네에 제품 수량이 많지 않다보니 만들어 모은 아미맨으로 디오라마 구성하다 보면
WW2 당시 독일군과 미군의 혼성부대(?!)가 나오는 상황이 흔했던...
오공본드 썼더니 프라가 녹아서 못쓰게 된 적도 있었습니다.(먼산)
그걸 보고 뽐뿌받아서 부모님에게 과학교제 명목으로 구입성공!
메뉴얼 대로 만들었으나... 건담 프라모델 만들던 실력으로는 역부족 이었어서 본드 덕지덕지에 배선도 재대로 되었는지 기억안남.
대야에 물받고 올려놓자 옅은 무지개색 기름+본드의 찌꺼기들들을 수면에 떠올리며 침수
보글보글 그대로 가라앉았던.... 기억이 납니다..
근데 어렴풋한 기억으론 그때 본드는 잘 붙지도 않았던거 같은데요? 제대로 안붙어서 짜증 났던 기억만 남아 있는 걸 봐선...
그리고 저 시절의 본드칠 하는 프라, 아직도 팝니다. 건담 구판의 함선 류나 비행기 류 사면 본드칠 많이해야 합니다. 특히 구판 미데아 조립할 때 진짜 건프라 본드칠을 책보고, 유튜브보고 따라했던터라 기억에 남네요.
악화제타만의 문제였는지는 모르겠는데 막투나 더블제타와 달리 제타는 손가락 관절의 상태도 시망이라서 너무 잘 부러졌고요=>제타에서 하도 데었다가 막투를 만들었을때...뭐야 이거!!!! 싶을 정도
그래서 문방구에서는 일반적인 프라박스에 들어가던 것보다는 좀 더 큰 튜브에 들어있는 프라용 본드도 팔았는데(없으면 그노무 돼지본드...) 처음으로 악화가 타미야짝퉁 유리병에 들어있는 본드를 출시했을 때는 그야말로 하늘을 날아갈 거 같은 기분이었지 말임다.
그때는 정말 건프라나 밀리프라나 별 차이 없이 본드질하다 머리아파 고생하는 그런 시간이었지요^^.